Programmers Level 1 문제 풀이 #08: 22-12-01
8-1) 최소 직사각형
문제)
명함 지갑을 만드는 회사에서 지갑의 크기를 정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명함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면서,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한 지갑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지갑을 만들기 위해 디자인팀은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조사했습니다.
아래 표는 4가지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명함 번호 | 가로 길이 | 세로 길이 |
1 | 60 | 50 |
2 | 30 | 70 |
3 | 60 | 30 |
4 | 80 | 40 |
가장 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각각 80, 70이기 때문에 80(가로) x 70(세로) 크기의 지갑을 만들면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번 명함을 가로로 눕혀 수납한다면 80(가로) x 50(세로) 크기의 지갑으로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지갑 크기는 4000(=80 x 50)입니다.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siz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모든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갑을 만들 때, 지갑의 크기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sizes의 길이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sizes의 원소는 [w, h] 형식입니다.
- w는 명함의 가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 h는 명함의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 w와 h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내가 작성한 답안)
const solution = (sizes) => {
//22-12-01
//0. size 배열 내에 존재하는 원소들을 오름차순 정렬(fSort)한다.
//1. fSort 배열의 원소의 첫번째 값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sSort)한다.
//2. sSort의 원소(하위 배열)들을 순회하면서 첫 번째 인덱스의 값들만 모은 배열(fArr)과, 두 번째 인덱스의 값들만 모은 배열(sArr)을 만든다.
//3. fArr에서 가장 큰 값과, sArr에서의 가장 작은 값을 곱한다.
const [fArr, sArr] = [[], []];
const fSort = sizes.map(v => v.sort((a, b) => a - b));
fSort.sort((a, b) => a[0] - b[0])
.map(v => (fArr.push(v[0]), sArr.push(v[1])));
return Math.max(...fArr) * Math.max(...sArr);
}
8-2) 비밀지도
문제)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형식
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 n 과 2개의 정수 배열 arr1, arr2가 들어온다.
- 1 ≦ n ≦ 16
- arr1, arr2는 길이 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
- 정수 배열의 각 원소 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 n 이하이다. 즉, 0 ≦ x ≦ 2n - 1을 만족한다.
내가 작성한 답안)
const solution = (n, arr1, arr2) => {
//22-12-01
//0. arr1과 arr2를 순회하면서 각 원소를 이진수로 변환한뒤 padStart를 활용하여 다섯자리의 수로 맞춘다.
//1. arr1과 arr2의 각 원소를 순회하면서 두 수 중 하나라도 1일 경우는 1을, 0일 경우는 0을 반환한 새로운 배열(totalMap)을 만든다.
//2. decimalArr를 순회하면서 1에 해당하는 문자는 '#'을, 0에 해당하는 문자는 ' '로 변환한 배열을 return한다.
const [decimalArr1, decimalArr2] = [arr1.map(v => v.toString(2).padStart(n, '0')), arr2.map(v => v.toString(2).padStart(n, '0'))]
const totalMap = [];
for (let i = 0; i < n; i++) {
let result = '';
for (let j = 0; j < n; j++) {
result += Number(decimalArr1[i][j]) || Number(decimalArr2[i][j]) ? '#' : ' ';
}
totalMap.push(result);
}
return totalMap
}
8-3)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
문제)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 string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각 문자열의 인덱스 n번째 글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strings가 ["sun", "bed", "car"]이고 n이 1이면 각 단어의 인덱스 1의 문자 "u", "e", "a"로 strings를 정렬합니다.
제한 조건
- strings는 길이 1 이상, 50이하인 배열입니다.
- strings의 원소는 소문자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strings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100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모든 strings의 원소의 길이는 n보다 큽니다.
- 인덱스 1의 문자가 같은 문자열이 여럿 일 경우, 사전순으로 앞선 문자열이 앞쪽에 위치합니다.
내가 작성한 답안)
const solution = (strings, n) => {
//22-12-01
strings.sort((a, b) => {
if (a[n] < b[n]) { return -1 }
else if (a[n] > b[n]) { return 1 }
else if (a < b) { return -1 }
else if (a > b) { return 1 }
return 0;
})
return strings
}
'Programmers > Level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29>프로그래머스 Level 1 문제 풀이 #07 (0) | 2022.11.29 |
---|---|
<22.11.25>프로그래머스 Level 1 문제 풀이 #06 (0) | 2022.11.25 |
<22.11.24>프로그래머스 Level 1 문제 풀이 #05 (0) | 2022.11.24 |
<22.11.23>프로그래머스 Level 1 문제 풀이 #04 (0) | 2022.11.23 |
<22.11.22>프로그래머스 Level 1 문제 풀이 #03 (0) | 2022.11.22 |